목록Error Handling (15)
나의 발자취

결론부터1. Control + Option + Shift + 전원 누르면 전에 안보이던 circle loading이 뜨는데 이때 바로 잽싸게 2. Option + Cmd + P + R 을 누르면 와이파이 네트워크 선택 창으로 넘어간다! 안될 경우, 재부팅하고 Cmd + R 바로 잽싸게 누르면 애플 로고 나옴! 기 적! 안될 경우 아래를 따라 읽어보도록 윈도우랑 같이 이용하려고 패러랠즈를 깔았는데 열고 닫을 때 snooze 모드일 때 조금 버벅이길래 뭔가 낌새가 이상했다. 그치만 애써 무시했다.근데.. 완전히 셧다운했다가 다시 재부팅하려니까 완전 아무 것도 안켜지는것이다. 심지어 충전할때 충전음도 안 남.맛이 간건가? 생각하면서 부팅 자체가 안되니까 OS 레벨의 문제라고 생각이 들었다.트..

미들웨어도 다 문제 없는데 왜 자꾸 날까 생각을... 줄별로 찍어보니, 81번째 줄에서 에러남. 그럼, checkNickname()함수를 갔다 오면서 에러가 난다는건데, 닉네임의 길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난 모양이다.(인코딩!) checkNickname 함수 내부에서 req.body를 사용하고 있는데, 비동기 함수 호출 후 req.body가 예상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결국, checkNickname 함수에서 req.body(nickname) 자체 값을 받아서 인코딩을 위한 처리를 할때 값이 변환이 되어서, 비동기처리를 할 때 checkNickname 함수를 끝내고 오면 다음줄로 넘어가야 하는데 req.body가 undefined로 되어버려서 이런 문제가 발생했던 것! 해결 방법checkNi..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내려받은) 해당 프로젝트와 타겟 버전이 내 로컬의 것이 더 높은 경우, 안뜰 수 있다.조금 낮춰주면 왼쪽과 같이 떴던 목록에서 오른쪽과 같이 목록들이 여러개 뜨는 걸 볼 수 있다!

이런 걸 본적이 있는가 이유: 노드 버전이 너무 최신이라 그렇다.해결법: 버전을 다운그레이드 해준다. iTerm에 가서brew search nodenode가 깔려있다. 처음에 brew로 노드를 버전 지정없이 그냥 깔아버려서 그런가보다. brew install node@18 그리고 (성질급한 사람에겐) 기나긴 기다림 이후brew unlink nodebrew link --overwrite node@18순차적으로 입력 마지막으로 버전 확인을 해보면 18로 잘 된것이 확인된다. 다시 돌아가서 확인해보면 에러메시지가 더이상 안뜨는것이 확인된다.

에러알라모파이어를 설치하고 빌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타나면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에러 메시지를 보니, AlamofireDynamic의 파일/위치를 찾을 수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해결방법Project 클릭 > Build Phases > Link Binary With Libraries에 가면 현재 아래와 같이 세 개의 라이브러리가 Required Status로 되어있을 것이다. 문제가 되는 AlamofireDynamic을 제거해주고 아래와 같은 상태로 만들어준다. 다시 빌드를 실행한다.

이렇게 코드를 짜고 파일을 실행하면 localHost Access Denied라고 뜬다. 그 이유는, 에러 메세지를 보면 "address already in use :::5000"이라는 내용처럼 이미 포트번호 5000을 사용중이라는것이다. 확인을 위해, 터미널을 켜고 lsof -i tcp:5000 이라고 명령어를 치면 현재 실행중인 것들이 나온다. 그러나 아래의 COMMAND에 내가 만든 파일의 node라는 프로세스는 없으므로 지금 뭔가 다른 프로세스가 해당 포트번호를 사용중이라는 것이다.따라서 PID kill을 해주지 않는다. 해결방법 - 다른 포트번호로 바꾸어준다.그러면 새로고침 할때마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시 터미널에서 위 명령어를 확인하면 node 프로세스의..

터미널에서 code . 을 했을 때 VS Code가 열려야하는데 안열리는 경우, 사용자가 권한을 주지 않아서 그렇기 때문에 1. 터미널을 켜고, sudo rm -rf /usr/local/bin/code 라고 입력 2. VS Code를 간 후에 ⇧⌘P (Cmd+Shift+P) 를 입력 후 아래 메뉴 클릭 3. 맥북 비밀번호 입력 끝.
Problem브라우저에서 탭간 이동을 할 때 option+cmd+방향키를 이용해서 이동하는걸 맨날 하는데 갑자기 새로운 M3에서 이 키가 안되는것이다;; 당황.. *Spectacle 단축키랑 겹치는 단축키가 없다는 전제 + 키보드 옵션 설정을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해결방법Settings > Stickey Keys > 활성화한 다음, option 키를 빠르게 두 번 눌러 이가 비활성화/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한 후 Stickey Keys 토글을 다시 끈다.그다음 try it again. -> It works fine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