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93)
나의 발자취
패키지명은 backwards 컨벤션을 따르며, 다 lowercase, space가 생략된다. 제일 밑 미니멈 API 레벨에서, 버전에 따라 밑에 전체 기기의 몇퍼센트를 커버할 수 있는지 수치가 나온다. Minimum API Level은 Tradeoff라고 생각하면 된다. 버전이 낮을수록 커버를 할 수 있는 기종은 많고, 버전이 높을수록 다양한 피쳐를 활용할 수 있다. API level을 고를때 밑에 있는 help me choose 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뜬다. 보고 참고하면 된다. 파일 구조 app > java > com.example.helloworld > MainActivity This is the main activity. It is the entry point for our app. Whe..
XML은 앱의 레이아웃을 정의한다. 태그로 구성되어있고, 두 가지의 타입이 있다. ... / 태그 안에 있는 것을 attribute라고 한다. 가령 또한 XML은 앱의 주된 설정을 담고 있는 파일이다. (AndroidManifest.xml) Name Components Permissions Hardware 등을 configurate 할 수 있다
The .xcodeproj file 실제적으로는 장소인데, 파인더에서 보면 앱의 설정을(configuration settings) 포함한 하나의 파일로 확인된다. 앱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또는 앱스토어에 앱을 제출하기 전에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볼 때 사용되는 설정들이다. 앱 이름, 앱 버전, 앱이 지원하는 기기 종류, 배포할 타겟 등 Code_HistoryApp.swift 앱 프로토콜에 따르는 구조체를 포함한다. 지금은 앱의 동작(behavior)이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제일 위 구조체의 @main 속성은 이것이 앱의 entry point라는 것을 나타낸다. 앱 최초 실행 시 처음으로 실행되는 .swift 파일이라는 것이다. UIKit로 짜여진 앱은 AppDelegate 클래스에 ..
The bundle identifier uniquely identifies your app in Apple’s ecosystem, implying that no two apps can have the same bundle identifier. Organization Identifier: A reverse DNS string that uniquely identifies your organization. For example, if the name of your organization is XYZ, then the reverse DNS notation would become com.xyz. However, since you’re building this app for yourself, you can use ..
A wireframe is a collection of sketches and notes that depict a website as it would look on a browser, a tablet, or a mobile device. It shows the layout of the app’s elements, like navigation bars, buttons, content placement, and more—it’s like the blueprint to our app! Good artists copy. Great artists steal. 복합연산자 영어로 compound assignment operators var dollars = 5 dollars += 4 // same as dollars..
ㅋㅋ.. 백만년만의 포스팅이다 이제까지 마음속 접어두었던 iOS를 기초부터 차근차근 다시 공부하려고 한다. 처음 iOS 스유를 공부하면 선언형과 명령형에 대해 언급이 되곤 한다. 일단, 선언형(declarative)과 명령형(imperative)에 대해 되게 쉽게 설명해놓은 짤로 시작. 이와 같이 명령형은 당연히 컴파일러에게 세밀하게 적시하기 때문에 컴파일 시간이 적게 걸리는 대신, 선언형은 시간이 좀 걸린다. UI kit을 사용하는 앱은 명령형(imperative) 프로그래밍을 따른다. 이것은 일련의 명령들이 specify되어있어서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해야하는지에 포커스를 하는 것이고, 스유(Swift UI)같은 경우는 선언형(declarative) 프로그래밍을 따르는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