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93)
나의 발자취
궁금증을 갖게 된 상황 인스타 스토리, 지피를 위에 붙이니 화질이 조금 떨어진걸 발견-> 이미지를 업로드 할 시 압축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궁금한 점 A. 이미지 압축 원리 B.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 및 실행하는 코드 C. 이미지 업로드의 과정(네트워크나 이미지 구성 등 비트단위로 어떻게 되는건지, 패킷 전송 등?) D. 인스타 스토리 이미지 렌더링? 뇌피셜로 추측하기 인스타 스토리 설정-Account-Data Usage-High Resolution ON 시 E. 아이폰 사진 확장자(HEIC)와 JPEG 차이
iOS의 메모리 관리 기법에 대해 더 깊게 알아보고, 정리를 해보고 싶어서 듣게 되었다. 세 명의 엔지니어들이 10분정도씩 돌아가며 설명을 해준다. Memory Footprint iOS 에서 어떻게 메모리를 관리하는지 설명하는 부분인데, 일단 메모리는 크게 Clean, Dirty, Compressed로 명칭이 나뉜다. (Clean Dirty, Dirty가 압축되면 Compressed) 메모리 공간을 나눠서 세는 단위(?)를 page라고 하는데 각각 클린 메모리에는 뭐가 들어가고, 더티 메모리는 뭐가 해당된다고 설명하는 부분이다. 우리가 흔히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는 앱은 더티 메모리에 해당된다. 메모리를 절약하기에 좋은 방법은 Singleton, Global Initializers이다. 싱글턴의 경우 한번..
제일 처음 해보고 싶었던 것은 플러터 공부이다. 그래서 Flutter Development 튜토리얼을 따를것인데, 하나의 스터디 주제 아래에는 여러개의 랩들로 구성되어있고 이것을 다 완주하면 뱃지를 얻을 수 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스터디를 하면, 공부할 때 필요로 할 경우 구글에서는 left pane에 그 스터디에 해당하는 credit ID들을 제공한다. 이 크레딧들은 해당 스터디에 따라 바뀐다. 이메일과 비번이 될 수도 있고, 링크가 될 수도 있고 뭐 그런 식이다. 오늘의 주제인 플러터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IDE와 Live Server가 필요한가보다. 메인 페이지에 안내되는 튜토리얼대로 left pane의 개인용 크레딧을 복붙하여 쓰면서 튜토리얼을 따라가면 된다. Getting started with..
구글 클라우드 스터디 잼에 신청을 하였다. 2/28인 오늘부터 3/28까지 약 한달간 진행된다. https://sites.google.com/view/studyjam-kr/home Google Cloud Study Jam 은 말 그대로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위한 스터디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데, 등록 신청을 하면 1달동안 구글 클라우드 관련한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방법을 동영상이나 튜토리얼 등으로 배울 수 있다. A Tour of Google Cloud Hands-on Labs 라고도 하고, Google QuikLabs라고 구글 검색창에 치면 사이트가 나온다. 등록 방법 어떻게 하여서 이 프로젝트를 찾게 되었는지는 기억이 잘 안난다. ㅠㅠ 습관처럼 자주 이것저것 뒤지다보니 발견하..
엘리스 AI 트랙의 프로젝트 소개 드디어 엘리스에서 하는 마지막 프로젝트 기간이 되었다. 엘리스 AI 트랙을 하게 되면 총 세 번의 프로젝트를 하게 된다. 첫번째 프로젝트는 개인 프로젝트로 2주간 진행되고, 나머지 두 개의 프로젝트는 각각 3주, 그리고 5주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웹으로 시작, 두 번째는 웹+데이터 분석, 세 번째 프로젝트는 웹+데이터 분석+인공지능 이렇게 점점 확장되어나간다. 커리큘럼 상 웹의 프론트, 백,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을 약 6개월의 시간동안 다 배우기때문에 조금 빡셀 수 있으나 열심히 하시는 분들은 열심히 하고, 이 긴 과정동안에 제공되는 수많은 취업기회들로 인해 점점 후반부로 갈수록 초반의 열기보다는 사그라드는 듯 보이지만 프로젝트 기간..
엘리스 레이서로 달리다보면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있는데, 직무멘토링, 모의면접, 직무소개, 이력서 첨삭 등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그것을 구체화시키기 위한 외부 강연들이 아주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다. 매주 주말마다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꽤나 자주 있는 편이기때문에 자신의 진로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고 방향을 정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 이루어진 것은 직무멘토링이고, 이는 먼저 직무 멘토링 그룹이 편성되는것으로 시작된다. 엘리스 측에서 제공하는 구글 폼에 대한 답을 하면, 운영진 및 매니저님들이 자기가 작성한 답변을 토대로 워크시트에서 선택한 희망직무 1,2순위에 따라 편성된다. (직무 멘토링은 15분간 취업준비 팁 소개와 45분간 워크시트를 바탕으로 한 멘토링으로 이루어진다. ..
git clone --bare http://gitlab.kaffalab.com/asdf.git cd asdf.git git push --mirror https://github.nhnent.com/godo/asdf.git
데이터 분석 팀 프로젝트란? 엘리스 AI 트랙에는 총 세 번의 프로젝트가 있다. 처음 프로젝트는 개인이지만, 뒤의 두 개 프로젝트는 팀으로 진행하게 된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데이터 분석 웹 서비스 제작" 팀 프로젝트여서 커리큘럼의 흐름대로 웹 + 데이터 분석의 기능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였다. 개인 프로젝트는 2주, 이 데이터 분석 팀 프로젝트는 3주, 마지막 인공지능 팀 프로젝트는 5주로 이루어진다. 가운데에 해당하는 데이터 분석 팀 프로젝트는 3주 동안 주어진 주제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후, 자유 웹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게 된다. 첫 1주동안은 기획, 2주동안은 개발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주제의 경우 주어지는데, 이번에는 OTT 서비스 데이터 분석 배달 서비스 데이터 분석 와 같이 두 개의 주제..